문제 파이썬 코드 답안 n = int(input()) for i in range(n) : a = '*' * (i+1) print(('*' * (i+1)).rjust(n)) fㅁㄴㄹㅇㅁㄴㅇㄹ 배우게 된 점 print를 할 때, 좌측 정렬과 우측 정렬이 가능하다. print는 기본적으로 좌측 정렬이 디폴트 값으로 들어가 있는 상태이다. 좌측 정렬, 우측 정렬을 선택하고 싶으면 .rjust()와 ljust() 메써드를 사용해주면 된다.
문제 파이썬 코드 답안 h,m = map(int,input().split()) if m >= 45 and m = 45와 0
문제 파이썬 코드 답안 x = int(input()) y = int(input()) if x > 0 and y>0: print(1) elif x 0 : print(2) elif x < 0 and y 0 and y
문제 파이썬 코드 답안 year = int(input()) if (year%4 == 0 and not year%100 ==0) or (year%400 ==0) : print('1') else : print('0') 알게된 점! 논리연산자에서 '아니다'를 표현하고 싶으면 'not을 사용하면 된다.
문제 파이썬 코드 답안 #초기 답안 #변수가 많이 선언되어있음 #변수 줄일 때 고민한 것 #소수점은 (나머지*10 // b)의 값이 하나씩 들어가는 형태임. #그런 이유 때문에 몫을 항상 기억할 변수가 필요하지 않음. #항상 기억해야할 것은 나머지 값임. a,b = map(int,input().split()) output = str(a//b) + '.' c = a//b #항상 기억하지 않아도 되니 소거 가능 d = a%b * 10 # 항상 기억되어야 하는 것은 b값임. a값은 한번 사용하고 난 다음부터 사용하지 않음. 따라서 a로 단순화 가능 for i in range(1000) : c = d // b #항상 기억하지 않아도 되니 소거 가능 d = d % b * 10 output += str(c)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