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관련주 TOP 10종목
- 카테고리 없음
- 2020. 8. 23.
차례를 클릭하시면 해당 위치로 이동합니다.
+투자자 유의사항 : 작성자는 고유한 의견을 토대로 직접 해당 글을 작성했습니다. 해당 글은 작성자가 습득한 사실에 기초하여 작성하였으나 제시 또는 인용한 수치는 사실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의 정확성에 대해서 보증할 수 없습니다. 언급된 회사에 대한 투자 행위와 투자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귀속됩니다.
1. 전기차란?
전기차는 흔히 PEV라고 불립니다. PEV는 Plug-In- Electric Vehicle의 약자인데, 전기를 동력원으로 삼아 운행하는 자동차를 이야기합니다. 기존에 우리가 이용하던 디젤과 가솔린 같은 내연기관 자동차는 석유 연료를 사용하고, 동력원으로 엔진을 사용합니다.반면 전기자동차는 석유 연료 대신 전기 배터리를 사용하고, 동력원으로는 전기 모터를 사용합니다.
전기차는 일찍이 1800년대 후반에 이미 개발이 완료되었습니다. 그렇지만 당시에 배터리의 중량이 너무 무겁고, 배터리를 충전하는데 너무 오랜 시간이 걸려 실용화되지 못했습니다. 그렇지만 전기차는 내연기관을 이용하는 자동차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내구성이 좋으며, 운전하기 쉬운 점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2. 전기차의 장점은?
2-1. 안정성
전기차의 장점 중 하나는 내연기관에 비해 좋은 안전성을 보여준다고 합니다. 기본적으로 전기차의 배터리는 무거운 무게를 자랑하기 때문에,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훨씬 무게가 많이 나간다고 합니다. 자동차 충돌 사고 시, 무거운 차량의 운전자가 입는 피해가 평균적으로 가벼운 차량을 운전하는 사람들보다 적습니다.
2-2. 관리비용
전기차는 관리 비용이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저렴합니다. 내연기관을 이용하는 가솔린 자동차는 1리터의 가솔린으로 약 9.7kwh의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반면 모터를 이용하게 되면, 충전된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2.7kwh의 전기에너지는 가솔린 1리터로 발생시킨 9.7kwh와 비슷한 효율을 보인다고 합니다. 유지비용 역시 전기자동차가 조금 더 저렴한 편인데요, 도요타의 프리우스 전기차는 주행거리 300,000km까지는 니켈 수소 배터리를 교체하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2-3. 에너지 효율성
전기차의 에너지 효율성이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기차는 배터리가 한번 충전되면 보통 70~85%를 실제 에너지로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내연기관 자동차는 대부분의 에너지가 열로 발산되어, 실제 열효율성은 20% 정도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2-4. 소음
전기차는 내연기관 차량에 비해 구조가 단순해진다고 합니다. 이유는 엔진대신 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엔진은 기본적으로 화석 연료를 주입하고, 실린더에서 화석 연료를 폭발시키는 과정에서 에너지를 만들어 동력원으로 삼습니다. 이런 엔진에서 실린더의 역할 때문에 소음이 날 수 밖에 없는데, 전기차는 모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소음이 없습니다. 실제로 거리를 다녀보면, 뒤에서 앞으로 전기차가 지나가고 나서야 전기차가 있었다는 것을 알 정도로 소음이 적습니다.
3. 전기차 시장의 미래는?
전기자동차 시장의 미래는 밝은 편이라고 생각됩니다. 최근 들어 전기차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이유는 고유가와 환경에 대한 부담 때문입니다. 2000년대에 들어서 유래없는 유가의 고공행진이 진행되면서 연료비에 대한 부담이 많아져서, 다시 한번 전기자동차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은 환경 규제를 통해 화석연료 사용을 점차 줄여가고 있습니다. 이런 것들이 완성차 업체에 크나큰 짐이 되고 있습니다. 각국에서 제시한 수치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차량의 판매가 제한되기도 합니다. 환경규제가 심화되면 심화될수록, 이런 숫자들은 완성차 업체들이 달성하기 어려운 숫자가 될 것입니다.
이렇듯 세계 각국의 환경규제와 고유가 행진 때문에 완성차 업체들은 2000년대에 들어서 전기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정부가 제시하고 있는 전기차 보급현황 및 전망을 따르면, 2013년에 1,000대 정도로 예측되던 산업수요대비 전기차 비중은 2019년에는 40,000대로 40배 성장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2025년에는 250,000대의 전기차가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고 하니, 어마어마한 성장률을 보입니다.
글로벌 전기차 시장 또한 사정이 다르지 않습니다. 2018년에 약 200만대로 팔릴 것으로 예상된 전기자동차는 2020년에는 300만대 이상이 팔릴 것으로 예측되며, 오는 2025년에는 1200만대 이상이 팔릴 것으로 예측됩니다. 이렇듯 전기차 시장은 앞으로도 어마어마하게 성장할 것이 분명한 시장입니다.
전기차 관련주1. LG 화학
LG화학은 코스피에 상장된 기업입니다. 이 기업의 시가총액은 52조 7,325억원이며 시가총액순위는 코스피 4위입니다. 외국인 보유율은 36.98%로 외국인의 투자 수요가 활발한 편이고, 52주 최고가는 758,000원입니다. PER은 417.23배이고 PBR은 3.36배, 그리고 배당수익률은 0.27%로 알려져 있습니다.
LG화학은 석유화학, 전지, 첨단소재, 생명과학 및 유리기판 및 접착제 사업을 포함하는 공통 및 기타부분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LG화학은 SK이노베이션, 삼성SDI와 함께 국내에서 직접 2차전지를 만드는 기업입니다. 전기차 시장이 성장하면 2차전지 시장이 성장할 것이 분명하기 때문에 전기차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기차 관련주2. 피에스텍
피에스텍은 코스닥에 상장된 기업입니다. 이 기업의 시가총액은 762억원이며, 시가총액순위는 코스닥 862위입니다. 피에스텍의 외국인 보유율은 5.14%로 국내의 투자가 활발한 편이며, 52주 최고가는 4,830원입니다. PER은 알려져 있지 않고, PBR은 0.52배라고 합니다. 배당수익률은 2019년 12월 기준 3.87%로 알려져 있습니다.
피에스텍은 1957년에 설립된 회사입니다. 주로 전력기기 사업부문과 자동차부품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피에스텍의 자회사는 자동차용 전장기기 및 계기류 제조 판매 사업을 하고 있다고 합니다. 피에스텍은 또한 급속충전기를 만들어 판매중인 회사인데, 전기차동차의 약점 중 하나는 인프라입니다. 전기자동차의 공급이 확대될수록 급속충전기의 수요는 반드시 증가할 것입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피에스텍은 전기차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기차 관련주3. 씨아이에스
씨아이에스는 코스닥에 상장된 기업입니다. 이 기업의 시가총액은 4,321억원이며 시가총액순위는 코스닥 157위입니다. 외국인 보유율은 4.68%로 알려져 있으며, 52주 최고가는 8,020원입니다. PER은 37,78배이고 PBR은 7.14배입니다. 배당수익률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씨아이에스는 2002년에 설립된 회사입니다. 씨아이에스는 리튬 이차전지 생산을 위한 전극 제조관련 장비를 전문 제작하며 2차전지 전공정인 Coater, Calender, Slitter, Tape Laminator 및 기타 설비등을 생산하다고 합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전기차의 수요가 증가하면 2차전지의 수요가 증가하고, 2차전지의 수요 증가를 위해서는 2차전지 생산 설비의 수요 또한 증가할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씨아이에스는 전기차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기차 관련주 4. 일진머티리얼즈
일진머티리얼즈는 코스피에 상장된 기업입니다. 이 기업의 시가총액은 2조 5684억원이며, 시가총액순위는 코스피 95위입니다. 외국인 보유율은 9.04%로 외국인의 투자 수요도 있는 편이며, 52주 최고가는 57,900원입니다. per은 48.60배이며 PBR은 4.46배, 배당수익률은 0.09%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진머티리얼즈는 스마트폰, 텔레비전 등 모든 IT 전자제품과 리튬이온 2차전지용 음극집전체에 사용되는 일렉포일의 제조하여 판매하는 업체입니다. 전기자동차의 수요가 증가하면, 2차전지의 수요가 증가할 것이기 때문에 2차전지의 핵심재료들의 수요 역시 함께 증가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일진머티리얼즈는 전기차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기차 관련주5. 코스모 신소재
코스모 신소재는 코스피에 상장된 기업입니다. 이 기업의 시가총액은 4,782억원이며 시가총액순위는 코스피 292위입니다. 외국인 보유율은 2.46%로 국내의 투자가 활발한 편이며, 52주 최고가는 17,400원입니다. PER은 알려져 있지 않고, PBR은 3.22배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배당수익률은 없다고 합니다.
코스모신소재는 1967년에 설립된 회사입니다. 이 기업은 기능성 필름과 2차 전지용 양극활물질, 토너, 토너용 자성체 등을 제조 판매하는 회사입니다. 마찬가지로 코스모신소재는 2차전지용 핵심소재 중 하나인 양극활물질을 제작하는 회사입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전기차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기차 관련주6. SK이노베이션
SK이노베이션은 코스피에 상장된 기업입니다. 이 기업의 시가총액은 17조 2,448억원이며 시가총액순위는 코스피 18위입니다. 외국인 보유율은 24.06%로 외국인의 투자 수요가 많은 편이며, 52주 최고가는 197,500원입니다. PER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PBR은 1.01배라고 하며, 배당수익률은 2019년 기준 1.61%입니다.
SK이노베이션은 석유, 화학 및 윤활유 제품의 생산 판매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분할되었는데, 전기차 배터리 사업도 함께 하고 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은 직접적으로 전기차 배터리에 들어가는 2차 전지를 만드는 회사입니다. 최근, 2차전지 시장이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실적 개선이 기대되면서 주가가 많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전기차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기차 관련주7. 삼성SDI
삼성SDI는 코스피에 상장된 기업입니다. 이 기업의 시가총액은 32조 5,600억원, 시가총액 순위는 코스피 9위입니다. 외국인 보유율은 42.32%로 외국의 투자 수요가 정말 많은 편이며, 52주 최고가는 509,000원입니다. PER은 112.28배, PBR은 2.61배, 그리고 배당수익률은 2019년 기준 0.21%로 알려져 있습니다.
삼성SDI는 소형전지, 중, 대형전지 등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에너지솔루션 사업 부문과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소재 등을 생산하고 판매하는 전자재료 사업 부문에 업력을 집중했습니다. 삼성SDI 역시 SK이노베이션, LG화학과 함께 2차전지 3대 회사로 불리고 있는 회사입니다. 이런 이유로 전기차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기차 관련주8. 포스코
포스코는 코스피에 상장된 기업입니다. 이 기업의 시가총액은 18조 1,785억원이며, 시가총액순위는 코스피 17위입니다. 외국인 보유율은 52.65%로 외국인의 투자가 매우 활발한 편이며, 52주 최고가는 249,000원입니다. PER은 12.18배이고 PBR은 0.38배, 배당수익률은 2019년 기준으로 4.81%로 높은 편입니다.
포스코는 열연, 냉연, 스테인리스 등 철강재를 단일 사업장 규모로 세계 최대 규모인 포항제철소와 광양제철소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또한 포스코에서는 양극재와 음극재를 생산하고 있는데요, 이 제품들은 전기차 배터리를 만드는데 필요한 제품입니다. 뿐만 아니라 음극재와 양극재의 생산능력을 증설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포스코는 전기차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기차 관련주9. 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는 코스피에 상장된 기업입니다. 이 기업의 시가총액은 36조 2,168억원이며, 시가총액순위는 코스피 8위입니다. 외국인 보유율은 33.57%로 외국의 투자 수요가 활발한 편입니다. 52주 최고가는 172,500원이며 PER은 17.96배, PBR은 0.64배입니다. 배당수익률은 2019년 기준 2.37%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대자동차는 1967년에 설립된 기업인데,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여 판매하는 완성차 제조업체입니다. 현대자동차는 2019년에 발표한 2025년까지의 계획에서, 전기자동차를 16개 이상 모델을 운영할 것이란 로드맵을 발표하였습니다. 또한, 25년 기준으로 전기자동차 56만대 이상의 판매 계획을 수립하였는데, 이는 2025년 기준 1위로 예상되는 폭스바겐과 거의 근소한 차이만 있습니다. 즉, 현대자동차는 글로벌 전기자동차 시장에서 리더십 확보를 하겠다는 계획을 설정하고 실행에 옮기고 있습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전기차 직접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전기차 관련주10. 일지테크
일지테크는 코스닥에 상장한 기업입니다. 이 기업의 시가총액은 505억원이며, 시가총액순위는 코스닥 1092위입니다. 외국인 보유율은 1.65%로 국내 투자가 활발한 편이고, 52주 최고가는 7,480원입니다. PER은 알려져 있지 않고, PBR은 0.43배라고 합니다. 배당수익률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지테크는 자동차 차체를 구성하는 REINF SIDE COMPL등 각종 PANNEL류를 생산 및 판매하는 자동차 부품 전문기업입니다. 완성차 업체의 차량구상 단계부터 참여하여 제품 설계, 금형제작, 치공구의 설계제작 그리고 제품제조 및 A/S까지 협력하고 있다고 합니다. 일지테크는 최근 21년까지 친환경 자동차 부품 공장의 신설과 증설을 위한 투자 계획을 발표했는데, 친환경 자동차에는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수소자동차가 있습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전기차 관련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추측을 바탕으로 전기차 관련주를 정리해보았습니다. 테마주는 항상 변동성과 유동성이 커서 투자에 큰 위험이 따릅니다. 이 글은 종목 추천글은 아니고, 관련 종목을 나름대로 정리해본 글입니다. 투자는 개인의 책임이기 때문에, 항상 신중한 투자하시는 것을 당부, 또 당부드립니다. 신중하고 성공적인 투자 되세요!
이 글을 함께 추천합니다!